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댓글0건 조회 1회 작성일 2025-11-15본문
콜백문자서비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9일 경북 경주박물관에서 정상회담장으로 이동하며 대화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파이낸셜뉴스] 국내외 국방 외교·안보 전문가들은 한미정상회담의 결과를 담아 전날 발표된 한미 공동 팩트시트가 한미동맹이 앞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동맹의 경제안보협력 강화와 포괄적 안보 체제로 확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핵추진 잠수함(SSN) 건조와 관련 세부사항을 둘러싼 논의에 진통 가능성은 남아있다고 진단했다. 15일 앤드루 여 브루킹스연구소 한국석좌는 우선 "지난 8월 워싱턴에서 열린 첫 한미정상회담과 이후 지난달 29일 한미정상회담 이후 2주 이상 결과물이 나오지 않은 것은 전례 없는 일이었다"고 짚었다. 이런 상황에서 양 정상이 자국민에게 공개할 공동 팩트시트를 낸 것은 "일부 안도감"을 주는 일이며 "한미동맹이 앞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과의) 핵잠 합의에서 상업적·안보적 이익이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트럼프의 접근 방식은 매력적으로 들리는 무엇인가에 대해 먼저 '예스'라고 말한 뒤 세부 사항을 논의하는 것"이라며 핵잠 건조 장소를 포함한 세부 사항을 둘러싼 논의에 진통이 있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앤드루 여 석좌는 팩트시트가 주한미군의 주둔을 재확인했으나 현재 2만8500명 안팎인 규모 유지는 언급하지 않은 데 대해 "물론 한국인들은 병력 숫자를 명시하는 쪽에 훨씬 더 편안함을 느끼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경우 주한미군의 역할과 기능이 정확한 병력보다 더 중요하다면 구체적인 (주한미군) 수치를 제시하는 것에서 벗어나고 싶을 수 있다"고 해석했다. 그는 팩트시트에 미국에서 한국으로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을 전환하는 문제를 한국의 미국 무기 구입 확대 및 방위산업 협력 증진과 연결한 것은 흥미로운 대목이라면서 "트럼프 행정부가 전작권 논의에 대해 미국 과거 정권에 비해 더 열려 있는 것으로 보이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이번 공동 팩트시트에는 "양 정상은 전작권 전환을 위한 동맹 차원의 협력을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며 "미국의 지원으로, 한국은 대북 연합 재래식 방위를 주도하기 위한 필수적인 군사적 역량 강화 노력을 가속하기로 약속했다. 여기에는 미국의 첨단 무기 체계 획득과 첨단 무기 체계를 포함한 양자 버크셔해서웨이 회장 겸 최고경영자 (CEO) 워런 버핏. EPA=연합뉴스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95)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이 이끄는 버크셔가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 지분을 대거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간 애플을 제외한 기술주 투자에 극도로 신중했던 버핏의 행보와 대비되는 결정이어서 시장의 관심이 쏠린다. 버크셔는 14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분기 보유 주식 현황 보고서(Form 13F)에서 지난 9월 말 기준 알파벳 지분 43억3000만 달러(약 6조3000억원)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월가에서는 이번 매수를 두고 오래전부터 드러난 버핏·찰리 멍거의 ‘구글 투자 아쉬움’이 반영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멍거 전 부회장은 2017년 주주총회에서 “기술주 분야에서 저지른 최악의 실수는 구글을 알아보지 못한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고, 버핏 역시 “구글을 충분히 이해할 기회가 있었지만 놓쳤다”고 토로했었다. 하지만 CNBC 등 미국 경제매체들은 이번 알파벳 매수가 버핏 본인의 의사라기보다는 포트폴리오 매니저 토드 콤스 또는 테드 웨실러의 주도 아래 이뤄졌을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두 사람은 2019년 버크셔의 아마존 지분 매입을 이끈 바 있어, 빅테크 투자 확대의 실질적 의사결정자로 평가된다. 한편 버크셔는 3분기에도 애플 지분을 약 15% 줄인 것으로 신고했다. 그럼에도 매도 이후 보유 지분가치는 607억 달러(약 88조원)로 여전히 버크셔의 상장주 포트폴리오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알파벳 주가는 올해 들어 인공지능(AI) 분야 성장세에 힘입어 40% 이상 뛰며 투자 매력을 더해온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버핏 회장은 지난 5월 연례 주주총회에서 2025년 말 은퇴 계획을 전격 발표했다. 은퇴 이후 버크셔 경영은 후계자로 지명된 그레그 에이블 부회장이 맡게 된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콜백문자서비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