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이 지난달 25일 미국 워싱턴DC 상원 은행 위원회 청문회에 참석해 질문을 듣고 있다.AP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앙은행장을 쫒아내려고 벼르는 가운데 실제 해고시 미국 경제가 겪을 파장에 투자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미국 경제 체계에 대한 신뢰가 무너질 수 있다며 미국 장기 국채 가격이 0.5%p 가까이 폭락한다고 내다봤다. 싱가포르 경제지 비즈니스타임스 등 외신들은 22일 보도에서 독일 도이체방크 은행의 보고서를 인용해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 해임 시나리오를 예측했다. 도이체방크의 매슈 래스킨·스티븐 쩡 전략가는 투자자 보고서에서 “파월의 해임은 (금리 인하 등) 완화적인 통화 정책을 위한 조치로 그 결과 물가상승 기대 및 위험부담비용(리스크 프리미엄)이 커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들은 지난주 채권 시장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 파월이 해고될 경우 30년 만기 장기 미국 국채 가격이 0.56%p 떨어진다고 분석했다. 프랑스의 에릭 롬바르 재무장관은 지난 4월 인터뷰에서 트럼프가 정부와 독립적인 연준의 수장을 임기 만료 전에 직접 해임한다면, 미국 달러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미국 경제가 불안정해진다고 경고했다. 도이체방크의 조지 사라벨로스 외환 조사 대표도 지난 12일(현지시간) 보고서에서 “파월의 해임은 연준 독립성에 대한 정면 공격으로 간주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해임시 달러 가치가 24시간 안에 3~4% 폭락하고, 미국 국채 가격 역시 0.3~0.4%p 급락한다고 추정했다. 올해 취임 전부터 파월과 연준에 기준금리 인하를 요구했던 트럼프는 내년 5월에 임기가 끝나는 파월이 물가상승 억제를 이유로 금리를 내리지 않자, 올해 내내 해임 가능성을 언급했다. 미국 증시는 지난 15일 트럼프가 여당 의원들과 파월 해임을 논의했다는 보도가 나오자 잠시 급락하기도 했다. 가상자산을 기반으로 스포츠, 정치 등 여러 미래 이벤트에 베팅하는 미국 온라인 사이트 폴리마켓에 따르면 22일 베팅 참여자들이 보는 파월 해임 확률은 이달 말 기준 2%였다. 그러나 8월 말, 12월 말 해임 가능성은 각각 5%, 22%였다. 래슈킨 등 도이체방크 전략가들은 이들은 파월의 전남도종자관리소가 자체 제작한 이동식 그늘막 쉼터에서 노동자들이 더위를 식히고 있다. 전남도 제공 “점심이나 쉬는 시간마다 멀리 나가야 했는데, 이제 바로 옆에 그늘이 와주니까 훨씬 도움이 됩니다.”전남도종자관리소에서 일하는 60대 노동자 A씨는 찜통 같은 날씨가 이어지는 들판에서 매일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부터는 트랙터에 실린 이동식 그늘막 쉼터가 작업장 가까이 따라오면서, 먼 곳까지 이동하지 않고도 땀을 식힐 수 있게 됐다. 쉬는 시간마다 그는 동료들과 그늘에 앉아 숨을 고르며 불볕더위를 견딘다. A씨는 “사막에서 오아시스를 만난 기분”이라고 말했다.22일 전남도에 따르면 이 쉼터는 종자관리소 직원들의 자발적 아이디어로 제작된 ‘이동식 그늘막 쉼터’다. 폭염에 취약한 농작업 현장을 고려해 마련된 조치다. 현재 도내 온열질환자 114명 중 80%(91명)가 실외에서 발생했으며, 이 가운데 논밭과 작업장에서 발생한 사례가 66명으로 전체의 약 58%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 됐다.종자관리소는 트랙터용 트레일러에 버려진 철물 자재를 용접해 골조를 만들고, 위에는 천막을 씌워 넓은 그늘 공간을 확보했다. 접이식 구조로 제작돼 이동과 보관이 쉽고, 제작비도 약 15만 원에 불과하다. 대부분 보유 자재를 재활용한 덕분에 외부 제작 시 예상 비용보다 약 85% 이상을 절감했다.쉼터의 크기는 가로 6m, 세로 4m, 높이 2m로, 일반 파라솔보다 약 10배 넓은 그늘 면적을 제공한다. 간이 의자와 음료도 갖췄고, 트랙터는 물론 일반 차량에도 결합할 수 있어 다양한 농업 현장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전기 등 부가 장비 없이도 바로 이동 가능한 점도 장점이다.현재 종자관리소는 이 이동식 쉼터 2대를 운영 중이다. 트랙터 등 장비를 보유한 농가는 자재만 확보하면 직접 제작이 가능하다. 종자관리소 관계자는 “마을 단위 작목반 등에서 공동 제작하면 자재 조달이 쉬워지고, 제작비도 분담할 수 있어 활용률과 가성비를 동시에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연간 100㏊ 규모 농지에서 벼, 콩, 보리류 등을 생산하는